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4차산업혁명 시대, 국가간 협력과 공조가 필수”

기사승인 2018.12.18  13:57:39

공유
default_news_ad1

- 4차산업혁명위 ‘4차산업혁명 글로벌 정책 컨퍼런스’ 개최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위원장장병규, 이하 ‘4차위’)18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4차산업혁명 글로벌 정책 컨퍼런스(GlobalPolicy Trend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2018)’를 개최했다.

장병규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급변하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려면 자국의 상황에 맞는 정책적인 노력도 중요하지만 글로벌 차원의 협력과 공조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장 위원장은 노동환경, 사이버 보안 등은 개별 국가만의 노력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각국의 정책을 서로 교류해 정책 수립의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장이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 18일 열린 ‘4차산업혁명 글로벌 정책 컨퍼런스’에는 7개국, 4개 국제기구 13명의 정책 분석가들이 참여했다.(사진출처: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공)

이번 컨퍼런스에는 OECD, EU, 세계은행그룹, 미국, 독일, 중국 등 7개국과 4개 국제기구의 13명의 정책 전문가들이 참여해 4차산업혁명에 대응하는 각 국의 정책과 사례들을 발표했다.

개회사에 이어 마이클 레이터러(MichaelReiterer) 주한유럽연합대사는 ‘EU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4차산업혁명을 주제로 첫 번째 기조연설을 했다.

마이클 레이터러는 “4차산업혁명은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로 개방된 사회와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무엇보다 먼저 인간의 효용을 위해 서비스 되어야 하며, 인간이 모든 프로세스를 지배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번째 기조연설자로 나선 알리스테어 놀란(AlistairNolan) OECD 수석정책분석가는 최근 OECD의 다양한 분석을 기반으로, 기술의 융합으로 인한 생산혁명을 강조하고 현재의 생산성 위기와 급속한 인구 고령화의 솔루션으로 새로운 생산기술의 성공적인 적용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기술확산, 적합한 기술 개발 그리고 우수한 디지털 생태계 개발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관심을 가져야 하며, 특히 기술확산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라면서 신기술을 사용해 성장할 수 있는 기업들에게 인적자원과 금융지원이 가능한 여건을 만들어주고 정부 기관들이 이를 적극 도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조연설에 이어 덴마크 혁신위원회(theDisruption Council) 위원이자 벤처기업가인 캐롤라인 알리펠트(CarolineAhlefeldt)덴마크 혁신위원회: 덴마크의 미래를 위한 파트너십이란 주제로 특별강연을 했다.

20175월에 출범한 덴마크 혁신위원회는 덴마크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민간자문기구로서, 새로운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미래 역량 강화, 자유 무역 및 외국 노동, 비즈니스를 위한 유연하고 안전한 프레임워크, 유연성 등 5가지 주제를 다루고 있다.

오후에는 3개 분과의 토론이 진행됐다.

1분과는 서울대 김성철 교수의 사회로 ‘4차산업혁명과 과학기술 혁신을 주제로 미국, 중국, 덴마크의 발제에 이어 고려대 김승주 교수의 토론이 진행됐다.

캐롤라인 정(CarolineChung) 주한미국대사관 상무관은 AI기술의 신뢰 구축을 위해 지적 재산권 보호 강화와 국가 사이버 보안 향상 그리고 비용 절감을 위한 기능 통합 등의 정책 사례를 발표했다.

마틴 루네 혹서(MartinRune Hoxer) 주한덴마크대사관 혁신센터장은 디지털 혁신 허브, 혁신센터와 같은 덴마크 혁신정책사례를 통해 신기술이 국가 전반에 미치는 급진적인 변화 및 이해당사자간의 협업 필요성을 소개했다.

푸 꾸웨이(FuGui) 주한중국대사관 과학기술참사관은 중국의 스마트 제조 표준화, AI 발전계획을 발표했다.

‘4차산업혁명과 산업경제 혁신을 주제로 한 제2분과에서는 고진 한국모바일산업연합회 회장의 사회로 독일, 영국, 네덜란드, 세계은행그룹의 정책 발표, 그리고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의 토론이 진행됐다.

베어트 뵈르너(WeertBorner) 주한독일대사관 경제공사는 독일 인더스트리4.0’ 관련 최근 정책 사례에 이어, 사이몬 스피어(Simon Spier) techUK 국제통상팀장은 영국의 스마트시티로서 맨체스터와 브리스톨의 사례를 발표했다.

강호진 주한네덜란드대사관 농무관은 미국에 이어 농식품 수출 세계 2위국가로 성장한 네덜란드의 스마트농업 정책사례 및 농식품 정책 성공 이유를 소개했다.

3분과는 ‘4차산업혁명과 사회제도 혁신이란 주제로 임춘성 연세대 교수의 사회로, EU, 일본, 아세안 지역의 정책 발표와 이나리 플래너리대표의 토론이 진행됐다.

니콜라스 버지(NicholasBurge) 주한유럽연합대사관 경제팀장은 4차산업혁명의 사회적 영향과 일반데이터보호규정(GDPR) EU 정책 및 사례를, 아리마 노부아키(ArimaNobuaki) 주한일본대사관 참사관은 빅데이터 기반의 AI와 로봇이 대리자로서 수행하거나 적응을 지원하는 ‘Society 5.0’ 정책 및 사례를 발표했다.

마지막으로 농치스 캄분행(NonghithKhambounheuang) -아세안센터무역투자국장은 아세안과 개별 아세안 회원국(AMS)4차산업혁명 준비 상황에 대해 소개했다.

4차위는 이번 컨퍼런스가 4차산업혁명에 대한 국가간 협력의 계기가 되었기를 희망하며, 앞으로도 각국의 4차산업혁명과 관련한 정책과 정보를 공유하고 글로벌 네트워킹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시현 기자> pcsw@bikorea.net

박시현 기자 pcsw@bikorea.net

<저작권자 © BIkorea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3
default_setImage2
ad36

최신기사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